2018년 |
||
12월 |
2018년 신진연구자 공적연금 학술제 |
|
8월 |
"한국사회 에너지 민주주의 확대를 위한 쟁점과 과제" 주관 토론회 개최 |
|
4월 |
2차 사회공공포럼 "서울지하철9호선 민자사업, 어떻게 공영화, 직영화, 통합화 할 것인가 |
|
2월 |
정기이사회 개최 |
|
연구보고서 발표 |
연간 총 6회 발간 (이슈워킹페이퍼 연간 총20회 발간) |
|
2017년 |
||
10월 |
국제심포지엄 "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 전반의 대수술의 필요하다" |
|
7월 |
2차 사회공공포럼 "공공대개혁의 방향과 전망" 연구원 주관 토론회 |
|
4월 |
1차 사회공공포럼 "공공기관운영법 시행 10년의 평가와 과제" |
|
2월 |
정기이사회 개최 |
|
연구보고서 발표 |
연간 총 9회 발간 (이슈워킹페이퍼 연간 총13회 발간) |
2016년 |
||
12월 |
3차 사회공공포럼 "노동조합의 지자체 개입전략, 어떻게 할 것인가? 서울시와 광주시의 노정합의 사례 분석" |
|
8월 |
2차 사회공공포럼 "전력가스 민영화, 무엇이 문제인가" |
|
4월 |
1차 사회공공포럼 "20대 총선 평가 및 향후 전망" |
|
2월 |
정기이사회 개최 |
|
연구보고서 발표 |
연간 총 6회 발간 (이슈워킹페이퍼 연간 총20회 발간) |
|
2015년 |
||
10월 |
국제심포지엄 "에너지 공공성 전환의 대안모색을 위한 국제심포지엄" |
|
7월 |
2차 사회공공포럼 "메르스사태를 통해 드러난 한국 공공의료의 쟁점과 과제" |
|
4월 |
1차 사회공공포럼 "공공부문 임금동결지침을 통해 본 노동기본권 제한의 문제점" |
|
2월 |
정기이사회 개최 |
|
연구보고서 발표 |
연간 총 9회 발간 (이슈워킹페이퍼 연간 총15회 발간) |
|
2014년 |
||
12월 |
3차 사회공공포럼, "노동시간 단축과 공공성" |
|
6월 |
2차 사회공공포럼 "공(公)의 탈환, 공공성의 재구성" |
|
4월 |
1차 사회공공포럼 "무상교통과 버스공영제 : '지속-개혁'을 위한 과제" |
|
2월 |
정기이사회 개최 |
|
연구보고서 발표 |
연간 총 9회 발간 (이슈워킹페이퍼 연간 총16회 발간) |
|
2013년 |
||
12월 |
3차 사회공공포럼, "공공부채의 민주적 통제와 화폐통화 주권" |
|
7월 |
2차 사회공공포럼 "사회적 경제와 노동조합 운동" |
|
2월 |
1차 사회공공포럼 "박근혜 통치담론에서 드러난 '박정희' 담론의 허와실" |
|
연구보고서 발표 |
연간 총 13회 발간 (이슈워킹페이퍼 연간 총9회 발간) |
|
2012년 |
||
9월 |
3차 사회공공포럼 및 87년 노동자대투쟁25주년 기념심포지엄 "2012년 한국 사회 민영화 진단과 노조운동 과제" |
|
6월 |
2차 사회공공포럼 "진보의 종말인가? 노동의 부활인가?" |
|
4월 |
1차 사회공공포럼 "에너지 빈곤층과 에너지 기본권 |
|
2월 |
공공운수정책연구원 창립 및 정기이사회 개최 |
|
2011년 |
||
9월 |
3차 사회공공포럼 “지방출연기관의 지배구조 개편방안” |
|
6월 |
2차 사회공공포럼 “자본주의 국가와 공공부문” |
|
3월 |
1차 사회공공포럼 “후쿠시마 원전 폭발: 한국의 원전은?” |
|
연구보고서 발표 |
연간 총 7회 발간 |
|
2010년 |
||
7월 |
사회공공연구소 주관 “올바른 공공부문 혁신을 위한 공공기관 대안평가 토론회” |
|
5월 |
2차 사회공공포럼 “모두 일하되 조금씩 일하는 사회로” |
|
3월 |
1차 사회공공포럼 “한국사회의 부동산 계급과 부동산 정치” |
|
1월 |
정기 이사회 개최 |
|
2009년 |
||
10월 |
창립 1주년 기념 토론회 “이명박 정부의 국가재정 운용의 문제점과 진보적 대안재정전략” |
|
7월 |
공공부문 노동운동 워크숍 개최 (7~12월) |
|
5월 |
공공노조 광주전남본부 사회공공성 열린 강좌 “소통과 연대” 개설 (5~12월) |
|
4월 |
3차 열린 강좌 “좌파의 역사실험실, 라틴아메리카 (4월)” 개설 |
|
3월 |
2차 열린 강좌 “경제위기와 사회복지 (3~4월)” 개설 |
|
2월 |
이슈페이퍼 모음집 발간 |
|
1월 |
정기 이사회 개최 |
|
2008년 |
||
12월 |
연구보고서 발간 개시 |
|
10월 |
이슈페이퍼 발간 개시 |
|
9월 |
1차 열린 강좌 “국가재정 분석 및 대안 (9~10월)” 개설 |
|
8월 |
창립 기념 토론회 개최 “자본의 신자유주의, 노동의 사회공공성- 시장만능주의 시대, 사회공공성운동의 길을 묻는다” |
|
7월 |
사회공공연구소 설립 이사회 개최 정관·사업계획 승인, 이사·이사장·감사 선임 사회공공연구소 제1대 소장으로 강수돌 고려대 교수 선임 |
|
5월 |
연구소 설립추진위원회를 설립준비위원회로 전환 연구소 설립 방안, 연구소 정관·규정 작성 |
|
3월 |
공공노조 대의원회에서 연구소 설립방침 결의 연구소 설립준비위원회 구성 |
|
2007년 |
||
11월 |
연구소 설립추진위원회 구성 연구소 설립추진계획, 설립방침 논의 |
|
2006년 |
||
11월 |
공공노조 창립대의원대회에서 연구소 설립기금 조성 결의 |